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ISA란? 중개형 ISA 가입해야 하는 이유
    주식 2021. 3. 14. 19:11
    반응형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2000만원 납입한도 안에서 예적금·펀드·파생결합증권과 같은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할 있는 계좌 말합니다. 계좌에서 다양한 상품에 동시 투자할 있는 데다 세제 혜택도 있어만능통장으로 불립니다. 

     

    ISA 19 이상이면 모두 가입이 가능하며, 의무 계약기간은 3년입니다. ISA 소득 조건에 따라 만기 3년이나 5년으로 가입할 있는데 최대 400만원과 200만원씩 비과세돼 목돈을 모으기에 적합합니다. 3 만기인 서민형 계좌는 연봉 5000만원 이하 근로자 또는 종합소득 3500만원 이하인 사업자가 가입할 있습니다. 일반형 ISA 누구나 소득만 있으면 가입 가능하며 2019 부터는 일시적으로 소득이 없는 경력단절자와 휴직자 등도 ISA 가입할 있습니다. 기존에는 소득이 있는 사람만 가입이 가능했지만 올해부터는 19 이상이면 소득이 없어도 누구나 가입이 가능합니다. 또한 과세특례 적용기한이 2018년에서 3 연장되어 2021 12 31 까지로 연장되었습니다.

     

    투자자가 금융회사 곳에서 개의 계좌만 개설할 있으며 · 적금, 상장지수펀드(ETF), 리츠(REITS), 파생결합증권(ELS) 금융상품을 계좌에 담아 투자할 있습니다.  

     

    ISA 일임형과 신탁형, 그리고 새롭게 추가된 중개형으로 가입할 있습니다. 신탁형은 투자할 상품을 투자자가 직접 선택하는 방식이며, 일임형은 금융사의 모델포트폴리오 하나를 선택하면 금융사가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일임형은 금융사가 운용하기 때문에 수수료가 순자산의 0.1~1.0%, 순자산의 0~0.3% 신탁형보다 높습니다. 한편, 이전까지 투자일임업은 증권사의 고유 업무여서 은행은 일임형 ISA 판매할 없었으나 금융위원회가 투자자의 선택권을 넓혀주자는 취지로 ISA 한해 은행도 업무를 있도록 하였습니다.

     

    자료화면일 뿐 삼성증권 홍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특히 새롭게 추가된 중개형 ISA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신탁형 ISA 일임형 ISA 가지 유형만 있어 고객의 직접 매매가 불가능했으나 신설된 중개형 ISA에선 국내주식과 상장지수펀드(ETF) 매매가 가능해집다. ISA 계좌는 모든 금융권을 통틀어 인당 1계좌, 1 유형(신탁형·일임형·중개형 1) 가입이 가능합니다.

     

    중개형 ISA' 2016 도입된 ISA 계좌의 업그레이드된 종합관리 통장입니다. 기존 ISA 통장과 달리 주식 매매가 가능합니다. 비과세 혜택은 그대로 받으면서 주식 투자도 가능하다는 점이 매력으로 꼽힙니다. 2000만원 납입한도에 최대 1억원까지 넣을 있다는 것은 기본 구조는 기존 ISA 동일합니다. '중개형 ISA' 펀드, ETF(상장주식펀드), ETN(상장지수증권), DLS(파생결합증권), 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뿐만 아니라 국내 상장주식과 신주인수권증서까지 투자할 있다. 또한 투자대상 손익통산도 가능합니다. 합산 손익 200만원 (서민형 가입자의 경우 4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있습니다. 초과분은 9.9% 분리·저율 과세해, 세제 혜택을 누릴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료화면일 뿐 삼성증권 홍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당장 ISA 활용해 투자하지 않더라도 만들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 이월납입 혜택이 있기 때문입니다. ISA 연간 2000 한도로 5년간 최대 1 원까지 납입할 있는데 올해부터 연간 납입 한도 2000 원이 이월 가능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가령 2019 ISA 개설하고 2021년까지 3년간 입금을 하지 않았다면 2021년에는 3년치 납입 한도인 6000 원까지 번에 납입해 운용할 있습니다. 지금 당장 사용할 생각이 없더라도 계좌를 개설해 두면 앞으로 필요할 연간 납입 금액인 2000 원이 아니라 번에 최대 1 원까지 투자할 있습니다.

    ISA 이용의 핵심은 과표 낮추기, 낮은 세율 적용받기로 요약됩니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있는 동시에 세금 부담이 있는 해외주식형 펀드를 편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이번 중개형 ISA 통해선 국내주식 투자에서 발생한 손실도 통산이 가능해 중국, 미국 수익성이 높은 해외주식형 펀드와 배당 성향이 높은 국내주식(이자·배당소득 추구) 함께 편입하는 방법이 절세 효과를 가장 크게 누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주식형 펀드는 국내주식 매매와 마찬가지로 매매손익은 비과세, 배당소득만 과세돼 세금 부담이 낮은 반면 해외주식형 펀드는 매매손익과 배당소득 모두 과세 대상 소득에 해당돼 손익통산, 비과세·분리과세 혜택을 모두 받을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 투자 규모가 국내주식 투자자, 특히 배당주를 선호하는 투자자라면 중개형 ISA 만들어 두는 좋습니다. 이를테면 일반 주식계좌에서 배당 수익률 5% 종목을 1 매수했다면 배당으로 받은 500 원에 이자·배당소득세(15.4%) 77 원이 과세되지만 중개형 ISA에서 동일한 종목을 매수했다면 200 원을 초과하는 배당수익인 300 원에 대해 9.9% 분리과세돼 297000원이 과세됩니다. 국내주식 수익률이 0%라고 가정했을 운용 첫해에만 473000원을 아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올해의 증권사별 중개형 ISA 출시 일정을 함께 첨부드리며, 오늘의 포스팅 마무리하겠습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평가 우량주 10선 추천  (2) 2021.03.18
    PER 낮은 주식 저평가주 고르기  (1) 2021.03.17
    D램 관련주 총정리  (0) 2021.03.14
    TDF 펀드 수수료 수익률 추천  (0) 2021.03.08
    해외 ETF 투자하는 방법 및 추천  (0) 2021.03.07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