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D램 관련주 총정리
    주식 2021. 3. 14. 13:42
    반응형

    PC·스마트폰 등에 들어가는 D 품귀현상이 설비 투자로 이어지면서 반도체 장비 공급 업체 실적도 함께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2월말 서버D 가격(32GB 모듈기준) 전월대비 3.48% 상승한 119달러를 기록했습니다. D 계약가격은 대부분 분기기준으로 계약하기 때문에 분기 첫째 달에만 가격변동이 나타나는 것이 통상적인데 2 가격이 오른 것은 이례적이고 긍정적이라는 반응입니다.

    이에 D 관련주 모두 주가가 일제히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오늘은 D 관련주에 관심 있는분들을 위해 D램과 관련된 반도체 장비주를 총정리 해보겠습니다. 

     


    1. 삼성전자

     

    2. SK하이닉스

     

    3. DB하이텍

    D 관련주로 국내에서 가장 크게 두드러진 곳부터 먼저 꼽아보았습니다. 3가지 한국 반도체 기업들은 주력제품이 D램으로, 메모리 반도체 성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제우스

    반도체 습식 세정장비 전문업체(Single, Batch, 고온황산장비), 올해 사상 최대 영업이익인 477억원이 전망된다고 합니다. Batch 타입 세정장비 국산화 효과와 지난해 연구개발비 증가분 감소 효과 오버랩이 예상되지만, 세정장비 국산화 사이클은 중장기로 진행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5. 유니셈

    유니셈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처리 장비인 스크러버(Scrubber) 온도 조절 장비 칠러(Chiller) 전문 기업입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BOE 국내외 대표적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업체들에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6. 이오테크닉스

    삼성전자와 8 공동 연구개발 끝에 수입에 의존하던 고성능 레이저를 국산화하는데 성공한 기업입니다. D 생산과정에서 웨이퍼 일부분만 레이저로 가열했다가 냉각해 표면을 가공하는 기술로 회로가 미세해지면서 발생하는 D 불량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장비인레이저 어닐링 개발했습니다. 이오테크닉스의 경우 파운드리 증설 경쟁을 벌이고 있는 삼성전자와 TSMC 모두 고객사로 두고 있고, 올해 사상 최대 연간 실적 달성이 전망됩니다.

     

    7. 티씨케이

    티씨케이 주요제품인 SiC 시장 수요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NAND 시장은 D램과 달리 다수 플레이어의 점유율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고단화 수율 경쟁이 심화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8. 유진테크

    반도체 전공정 장비업체로, 반도체 전공정단계에서 "박막(Thin Flim)형성" 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개발 중입니다. 주요 매출처는 삼성과 SK하이닉스입니다.

     

    9. 원익IPS

    반도체 증착 장비를 생산하는 원익IPS 주가가 22% 상승했습니다. 증권사들이 제시한 올해 영업이익은 2382억원 수준으로 지난해(잠정치) 비교해 70%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앞으로도 주가가 오르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런 예측을 해봅니다.

     

    10. 한미반도체

    반도체 웨이퍼에서 칩을 절단한 세척·검사하는 비전 플레이스먼트를 생산하는 한미반도체 역시 기간 주가가 76% 올랐습니다.

     

    11. 동진쎄미켐

    D 반도체 공정에 사용하는 불화크립톤(KrF) 레지스트 등을 생산합니다.

     

    12. 테스나

    반도체 후공정을 모두 진행하는 국내의 되는 종합솔루션을 가지고 있는 기업으로, 2,000억이상을 퍼부은 안성의 신공장이 가동을 시작했고 상반기부터 폭발적인 주문이 들어오고 있는 CIS수요를 커버하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작년부터 스마트폰에 적용되고 있는 3 이상의 카메라 커맨드는 보다 넓은 CIS 수요를 예측하게 합니다.

     

    13. 이엔에프테크놀로지

    반도체, 디스플레이용 소재인 프로세스 케미칼, 화인케미칼, 칼라페이스트 등을 제조하는 전자재료 제조사입니다. 사업환경은 다양한 전자기기 등장, 소형화, 다기능화 되면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코로나19 재택 시간이 길어지면서 PC TV 등의 교체 수요가 발생했는데 아직 단정하기 이르지면 포스트 코로나19 수요는 역기저 효과와 교체 수요 소멸로 현재 성장세가 이어지기 힘들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판단과 결정은 모두 본인이 내리는 것인 만큼 무조건 D 관련주라고 해서 투자할 것이 아니라 신중해져야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